본문 바로가기

최태성 한국사

38강_조선 후기 대외 관계

[38강_조선 후기 대외 관계]

◯오늘의 호기심

-삼전도의 굴욕? 삼전도는 어디?

-백두산정계비는 왜 세워졌을까?

-독도를 지킨 안용복은 조선 정부로부터 포상을 받았을까?

 

◯청(후금)과의 관계

-여진 : 교린

-강경책 : 4군 6진, 사민, 토관 / 온건책 : 북평관, 무역소

-여진 → 후금(17C)

-광해군의 중립외교 : 강홍립 투항사건

-인조반정(친명배금) → 정묘호란(삼전도 굴욕) → 병자호란

 

북벌론

-효종 : 송시열(서인→노론)

-청의 요청 → 러X : 나선정벌

-숙종 : 윤휴(남인)

-북학운동개화파(19C)

 

백두산정계비(숙종)와 간도

-백두산정계비(서위압록 동위토문) : 토문강 논란 → 간도

-대한제국 : 간도관리사 이범윤 파견

-간도협약(1909) : 청일 회담

-일본 : 외교권O(←을사늑약)

-간도→청 / 안봉선 철도→일본

 

◯일본과의 관계

-교린

-강경책 : 쓰시마섬 정벌 / 온건책 : 3포 개항, 계해약조

-16C : 3포왜란, 을묘왜변, 임진왜란

-17C : 유정의 포로송환, 기유약조(1609)

 

통신사 파견 : 임진왜란~19C초, 12회

-선진문화 → 일본 전파

-막부의 권위 인정

-수신사(19C) : 일본의 선진문물 배우기 위해 파견

 

◯독도

-안용복(숙종) : 울릉도/독도 → 우리땅

-대한제국 칙령 제41호(1900.10.25) : 독도는 우리땅

-러일전쟁 : 일본 영토 편입(1905)

 

◯이것만은 꼭!

-효종 시기 (송시열)과 숙종 시기 (윤휴) 등은 북벌론을 주장하였다.

-독도는 (러일)전쟁 시기 일본 영토로 강제 편입되었다.

-(숙종) 시기 안용복은 일본에 가 독도가 우리땅임을 알렸다.

-(숙종) 시기 백두산정계비가 설치되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