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최태성 한국사

37강_조선 후기 정치의 변화

[37강_조선 후기 정치의 변화]

◯오늘의 호기심

-상복 입는 기간 때문에 정권이 교체될 수 있을까?

-사도세자는 왜 뒤주에 갇혀 죽어야만 했을까?

 

붕당정치(공존, 16C)

-전랑, 척신청산 : 사림 → 서인, 동인

-정여립 모반, 정철 건저의 : 동인 → 북인(광해), 남인

-인조반정 : 서인/남인 → 북인 공격

 

예송논쟁(17C 현종)

-효종 계모 자의대비 상복착용기간 논쟁

-1차 예송논쟁(효종X) : 남인→3년 / 서인→1년(O)

-2차 예송논쟁(효종비X) : 남인→1년(O) / 서인→9개월

-남인 : 왕>사대부 ← 이황 <성학십도>

-서인 : 왕=사대부 ← 이이 <성학집요>

 

환국정쟁(일당전제, 17C 숙종) - 노론과 소론

-경신환국(1680) : 남인 < 서인

-서인 → 노론(송시열, 영조 지지), 소론(윤증, 경종 지지)

-기사환국 : 남인 > 서인

-갑술환국 : 남인 < 서인

 

◯영조의 탕평정치(18C)

-cf)노론 : 사도세자 죽음 → 시파, 벽파(→세도정치)

-탕평 : 완론탕평(붕당X)

-정치(왕↑) : 산림X, 서원(붕당근거지)↓, 전랑↓, 속대전

-경제 : 균역법(1년 1필)

-사회 : 사형수에 대한 3심제, 신문고

-문화 : 동국문헌비고

 

◯정조의 탕평정치

-탕평 : 준론탕평(붕당O, 시시비비)

-정치(왕↑) : 장용영, 규장각, 초계문신제, 수원화성, 대전통편

-경제 : 신해통공(금난전권X)

-사회 : 수령이 향약 관장, 공노비 해당 추진(순조)

-문화 : 중보동국문헌비고

 

세도정치(19C)

-순조, 헌종, 철종 3대 60여년

-소수가문(안동김씨, 풍양조씨) → 비변사, 5군영 장악

-수령직의 매관매직 → 수령, 향리 부패

 

◯이것만은 꼭!

-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나뉘게 된 계기 중 하나는 (정여립) 모반사건이다.

-1차 예송논쟁의 승리는 (서인)당이고, 2차 논쟁의 승리는 (동인)당이다.

-영조는 (완론)탕평, 정조는 (준론)탕평을 지양하였다.

-정조는 왕권강화를 위해 (규장)각 설치, (초계문신)제 실시, (장용)영 설치, 수원(화성)을 건립하였다.

-(신해통공)을 통해 시전상인의 금난전권이 폐지되었다.

'최태성 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39강_조선 후기 수취 체제의 변화  (0) 2014.01.30
38강_조선 후기 대외 관계  (0) 2014.01.30
36강_조선 후기 통치 체제의 변화  (0) 2014.01.30
35강_근세의 문화3  (0) 2014.01.30
34강_근세의 문화2  (0) 2014.01.3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