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37강_조선 후기 정치의 변화]
◯오늘의 호기심
-상복 입는 기간 때문에 정권이 교체될 수 있을까?
-사도세자는 왜 뒤주에 갇혀 죽어야만 했을까?
◯붕당정치(공존, 16C)
-전랑, 척신청산 : 사림 → 서인, 동인
-정여립 모반, 정철 건저의 : 동인 → 북인(광해), 남인
-인조반정 : 서인/남인 → 북인 공격
◯예송논쟁(17C 현종)
-효종 계모 자의대비 상복착용기간 논쟁
-1차 예송논쟁(효종X) : 남인→3년 / 서인→1년(O)
-2차 예송논쟁(효종비X) : 남인→1년(O) / 서인→9개월
-남인 : 왕>사대부 ← 이황 <성학십도>
-서인 : 왕=사대부 ← 이이 <성학집요>
◯환국정쟁(일당전제, 17C 숙종) - 노론과 소론
-경신환국(1680) : 남인 < 서인
-서인 → 노론(송시열, 영조 지지), 소론(윤증, 경종 지지)
-기사환국 : 남인 > 서인
-갑술환국 : 남인 < 서인
◯영조의 탕평정치(18C)
-cf)노론 : 사도세자 죽음 → 시파, 벽파(→세도정치)
-탕평 : 완론탕평(붕당X)
-정치(왕↑) : 산림X, 서원(붕당근거지)↓, 전랑↓, 속대전
-경제 : 균역법(1년 1필)
-사회 : 사형수에 대한 3심제, 신문고
-문화 : 동국문헌비고
◯정조의 탕평정치
-탕평 : 준론탕평(붕당O, 시시비비)
-정치(왕↑) : 장용영, 규장각, 초계문신제, 수원화성, 대전통편
-경제 : 신해통공(금난전권X)
-사회 : 수령이 향약 관장, 공노비 해당 추진(순조)
-문화 : 중보동국문헌비고
◯세도정치(19C)
-순조, 헌종, 철종 3대 60여년
-소수가문(안동김씨, 풍양조씨) → 비변사, 5군영 장악
-수령직의 매관매직 → 수령, 향리 부패
◯이것만은 꼭!
-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나뉘게 된 계기 중 하나는 (정여립) 모반사건이다.
-1차 예송논쟁의 승리는 (서인)당이고, 2차 논쟁의 승리는 (동인)당이다.
-영조는 (완론)탕평, 정조는 (준론)탕평을 지양하였다.
-정조는 왕권강화를 위해 (규장)각 설치, (초계문신)제 실시, (장용)영 설치, 수원(화성)을 건립하였다.
-(신해통공)을 통해 시전상인의 금난전권이 폐지되었다.
'최태성 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9강_조선 후기 수취 체제의 변화 (0) | 2014.01.30 |
---|---|
38강_조선 후기 대외 관계 (0) | 2014.01.30 |
36강_조선 후기 통치 체제의 변화 (0) | 2014.01.30 |
35강_근세의 문화3 (0) | 2014.01.30 |
34강_근세의 문화2 (0) | 2014.01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