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최태성 한국사

35강_근세의 문화3

[35강_근세의 문화3]

◯오늘의 호기심

-깡통, 그 자체인 측우기가 왜 그리 대단한 걸까?

-정철이 붕당정치의 한 가운데에 있었다는 게 사실일까?

 

◯조선 전기의 과학기술

-천문 : 왕권↑, 농업↑ → 서운관(재상)

-천체관측 : 혼천의, 간의 → 천상열차분야지도(고구려 천문도 영향, 태조)

-토지측량 : 인지의, 규형(원근)

-강수량측정 : 측우기

-시간측정 : 해시계(앙부일구), 물시계(자격루→자동시보장치)

-역법 : 칠정산=원수시력(내편)+아라비아회회력(외편)최초 한양중심의 역법서, 세종

-인쇄 : 주자소(계미자, 태종 → 갑인자, 세종), 조지서(종이생산)

-의학 : 향약집성방, 의방유취(의학백과사전)

-농서 : 농사직설, 금양잡록

-병서 : 총통등록(무기), 병장도설(훈련기술), 동국병감(고조선~고려 전쟁사)

-무기 : 화포(최해산), 화차(신기전, 세종), 거북선

-칠정산, 향약집성방, 농사직설15C 세종, 민족/자주적

 

◯15세기와 16세기의 문학

-15C 방외인문학(체제비판적)

-김시습 <금오신화> : 최초 한문소설

-16C 방외인문학(체제비판적)

-임제 <원생몽유록> : 세조 비판

-어숙권 <패관잡기> : 신분제도 모순 비판

-16C 가사문학

-정철 <관동별곡> : 관동8경

-정철 <사미인곡> : 임금 忠

 

◯15세기와 16세기의 건축과 예술

-15C 건축

-궁궐, 성곽, 학교

-무위사 극락전(전남 강진)

-해인사 장경판전(팔만대장경 보관)

-원각사지 10층석탑(세조) : 고려 경천사지 10층석탑과 유사

-16C 건축

-서원건축 : 가람배치 유사, 단청X

-정원(정자)문화 : 소쇄원(전남 담양), 식영정(정철 <성산별곡> 배경)

-공예

-15C : 분청사기 / 16C : 백자

-15C 그림 : 안견 몽유도원도, 강희안 고사관수도 → 일본 무로마치 미술에 영향

-16C 그림 : 사군자, 초충도(신사임당)

-글씨 : 한성봉(한호)

-15C 음악

-세종 : 아악체계화(by 박연), 정간보(악보)

-성종 : 악학궤범(음악이론서)

-무용 : 궁중무용(처용무), 민간무용(산대놀이, 꼭두각시 유행)

 

◯이것만은 꼭!

-조선의 천상열차분야지도는 (고구려) 천문도에 영향을 받았다.

-우리 역사상 최초로 한양을 중심에 놓고 만든 역법서는 (칠정산)이다.

-태종 때는 계미자, 세종 때는 (갑인자)가 개발되었다.

-김시습은 최초의 한문소설인 (금오신화)를 저술하였다.

-조선 전기 강희안은 (고사관수도)를 그렸다.

-성종 시기 음악이론서라 할 수 있는 (악학궤범)이 편찬되었다.

'최태성 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37강_조선 후기 정치의 변화  (0) 2014.01.30
36강_조선 후기 통치 체제의 변화  (0) 2014.01.30
34강_근세의 문화2  (0) 2014.01.30
33강_근세의 문화1  (0) 2014.01.30
32강_조선 사회의 여러 모습  (0) 2014.01.3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