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33강_근세의 문화1]
◯오늘의 호기심
-조선전기에는 왜 지도와 지리서를 꼼꼼히 만들었을까?
-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에서는 왜 한반도는 왜곡되어 그려졌을까?
-조선시대에도 사립학교가 있었을까?
◯15세기와 16세기의 주도세력
-15C : 관학파(→훈구파) → 실용적, 자주적, 민족적
-16C : 사림파 → 보수적, 사대적
◯15세기의 역사
-고려역사
-<고려국사> : 정도전, 정통성/명분 확보
-<고려사> : 기전체, 세종~문종
-<고려사절요> : 편년체(시간순서), 문종
-통사 <동국통감> : 서거정(동문선), 고조선(단군)~고려, 성종
◯15세기의 지리
-세계지도 :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→ 현존 최고 동양의 세계지도, 태종
-전국지도 : 팔도도(태종), 동국지도(세조)
-지리서 : 팔도지리지+동문선 시문 → 동국여지승람(성종)
-전국지도/지리서 : 군/현단위 조사 → 중앙집권
◯16세기의 윤리서, 의례서, 법전
-윤리서 <삼강행실도> : 충신, 효자, 열녀 → 글+그림, 세종
-의례서 <국조오례의> : 주례 강조, 성종
-법전 : <조선경국전>, <경제문감>(태조) → <경제육전>(태조) → <경국대전>(성종)
-cf)성종 3대 편찬사업 : 동국통감, 동국여지승람, 경국대전
◯16세기의 역사
-통감 <기자실기> : 이이, 존화주의, 소중화
◯16세기의 지리
-전국지도 : 조선방역지도(명종)
-지리서 : 신증동국여지승람(중종)
◯16세기의 윤리서
-윤리서
-<이륜행실도> : 연장자/연소자, 중종
-<동몽선습> : 유아용, 중종
◯교육기관
-중앙
-성균관 : 고등 ← 진사, 생원 입학
-4부학당(=4학) : 중등
-지방
-향교 : 중등, 부/목/군/현에 하나씩
-서당 : 초등
-서원 : 중/고등 → 사당(제사), 강당(교육), 기숙사
-cf)서원 : 가람배치O, 단청X
-백운동서원(by 주세붕) : 최초서원, 안향 영정 → 이황, 사액서원 → 소수서원
-성균관, 4부학당, 향교 : 국가 주도
-서당, 서원 : 민간 주도
◯이것만은 꼭!
-정도전은 조선 건국의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역사서로 (고려국사) 편찬을 주도하였다.
-성종의 대표적 3대 편찬 사업으로는 (동국통감), (동국여지승람), (경국대전)이 있다.
-세종 시기 그림과 글을 붙인 윤린서로 (삼강행실도)가 간행되었다.
-최초의 서원은 주세붕이 세운 (백운동)서원이다.
-소수서원에는 (안향)의 영정이 모셔져 있다.
'최태성 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5강_근세의 문화3 (0) | 2014.01.30 |
---|---|
34강_근세의 문화2 (0) | 2014.01.30 |
32강_조선 사회의 여러 모습 (0) | 2014.01.30 |
31강_조선의 신분 제도 (0) | 2014.01.30 |
30강_조선의 경제 생활 (0) | 2014.01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