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최태성 한국사

46강_근대 태동기의 문화3

[46강_근대 태동기의 문화3]

◯오늘의 호기심

-조선사람들은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돈다고 믿었을까?

-왜 조선후기 그림에 조선인, 조선의 자연이 등장할까?

 

◯조선후기 과학기술

-서양문물 : 곤여만국전도(세계지도), 화포, 자명종, 천리경, 안경

-천문학 : 지전설(김석문, 이익, 홍대용), 시헌력(서양역법 영향)

-의학

-허준 <동의보감> : 전통 한의학 정리, 광해군

-허임 <침구경험방> : 침구술 집대성

-정약용 <마과회통> : 종두법, 홍역

-이제마 <동의수세보원> : 사상의학

-농서

-신속 <농가집성> : 벼농사 기술 → 모내기법

-박세당 <색경>, <산림경제>, <해동농서> : 상품작물 재배법

-서유구 <임원경제지>

 

◯조선후기 문화의 특징 : 서민문화의 발달

-배경 : 상품화폐경제↑(생산력↑), 서당교육↑, 서민경제지위↑

-특징 : 해학, 풍자사회비판

 

◯조선후기 서민문화

-판소리 : 창(노래)+아니리(이야기)+발림(몸놀림)

-탈춤 : 탈놀이, 산대놀이 → 사회비판

-서민문학

-한글소설 : 허균 <홍길동전>, <심청전>, <별주부전>, <장화홍련전>, <춘향전>

-사설시조 : 형식파괴

-한문학

-박지원 : <양반전>, <허생전>, <호질>

-중인 : 시사조직, 위항시

-회화

-진경산수화 : 정선의 인왕제색도, 금강전도

-풍속화 : 김홍도, 신윤복, 강세황(18C, 서양화 기법 반영), 장승업(19c)

-민화

-추사체 : 김정희

-건축

-17C : 김제 금산사 미륵전, 화엄사 각황전, 법주사 팔상전 → 양반/지주의 후원

-18C : 부안 개암사, 논산 쌍계사, 안성 석남사 → 부농층/상인세력 지원, 수원화성(정조, 정약용의 거중기)

-19C : 경복궁(흥선 대원군)

 

◯이것만은 꼭!

-조선 후기는 서양 역법에 영향을 받은 (시헌력)을 도입하였다.

-이제마는 (사상)의학을 정립하였다.

-조선 후기 (풍속화)의 대가로는 (김홍도)와 신윤복을 들 수 있다.

-조선 후기에는 (청화)백자가 유행하였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