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46강_근대 태동기의 문화3]
◯오늘의 호기심
-조선사람들은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돈다고 믿었을까?
-왜 조선후기 그림에 조선인, 조선의 자연이 등장할까?
◯조선후기 과학기술
-서양문물 : 곤여만국전도(세계지도), 화포, 자명종, 천리경, 안경
-천문학 : 지전설(김석문, 이익, 홍대용), 시헌력(서양역법 영향)
-의학
-허준 <동의보감> : 전통 한의학 정리, 광해군
-허임 <침구경험방> : 침구술 집대성
-정약용 <마과회통> : 종두법, 홍역
-이제마 <동의수세보원> : 사상의학
-농서
-신속 <농가집성> : 벼농사 기술 → 모내기법
-박세당 <색경>, <산림경제>, <해동농서> : 상품작물 재배법
-서유구 <임원경제지>
◯조선후기 문화의 특징 : 서민문화의 발달
-배경 : 상품화폐경제↑(생산력↑), 서당교육↑, 서민경제지위↑
-특징 : 해학, 풍자 → 사회비판
◯조선후기 서민문화
-판소리 : 창(노래)+아니리(이야기)+발림(몸놀림)
-탈춤 : 탈놀이, 산대놀이 → 사회비판
-서민문학
-한글소설 : 허균 <홍길동전>, <심청전>, <별주부전>, <장화홍련전>, <춘향전>
-사설시조 : 형식파괴
-한문학
-박지원 : <양반전>, <허생전>, <호질>
-중인 : 시사조직, 위항시
-회화
-진경산수화 : 정선의 인왕제색도, 금강전도
-풍속화 : 김홍도, 신윤복, 강세황(18C, 서양화 기법 반영), 장승업(19c)
-민화
-추사체 : 김정희
-건축
-17C : 김제 금산사 미륵전, 화엄사 각황전, 법주사 팔상전 → 양반/지주의 후원
-18C : 부안 개암사, 논산 쌍계사, 안성 석남사 → 부농층/상인세력 지원, 수원화성(정조, 정약용의 거중기)
-19C : 경복궁(흥선 대원군)
◯이것만은 꼭!
-조선 후기는 서양 역법에 영향을 받은 (시헌력)을 도입하였다.
-이제마는 (사상)의학을 정립하였다.
-조선 후기 (풍속화)의 대가로는 (김홍도)와 신윤복을 들 수 있다.
-조선 후기에는 (청화)백자가 유행하였다.
'최태성 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48강_대원군의 대외정책 (0) | 2014.01.30 |
---|---|
47강_대원군의 대내개혁 (0) | 2014.01.30 |
45강_근대 태동기의 문화2 (2) | 2014.01.30 |
44강_근대 태동기의 문화1 (0) | 2014.01.30 |
43강_조선 후기 사회의 여러 모습 (0) | 2014.01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