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최태성 한국사

27강_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

[27강_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]

◯오늘의 호기심

-연산군은 과연 폭군일까?

-‘주초위왕’의 글자는 왜 나뭇잎에서 나타났을까?

 

◯사림의 성장

-성종 : 3사에 대거 등용

-연산군 : 무오사화, 갑자사화

-중종 : 기묘사화

-명종 : 을사사화

-선조 : 정권장악

-서원, 유향소, 향약 : 인재양성↑

 

◯훈구

-출신 : 혁명파 사대부 → 관학파, 성균관

-목표 : 중앙집권, 부국강병

-성향 : 실용, 자주, 개혁

-특징 : 단군↑, 기술↑, 사장↑(문학), 타사상 관대

-경제 : 훈구(대농장)

 

◯사림 : 3사 장악 → 훈구비판

-출신 : 온건파 사대부 → 사학파, 서원

-목표 : 향촌자치, 왕도정치(재상↑)

-성향 : 보수, 사대

-특징 : 기자↑, 기술↓, 경학↑(유교경전), 타사상 배척

-경제 : 중소지주

 

◯사화 : 훈구 → 사림

-무오사화(연산군) : 김종직의 ‘조의제문’을 김일손사초(실록)에 실으려

-갑자사화(연산군) : 폐비윤씨건

-중종반정

-기묘사화(중종) : 조광조(위훈삭제, 방납폐단지적, 소격서 폐지, 현량과, 향약/소학 보급) → 走肖(趙)爲王

-을사사화(명종) : 왕위계승 → 대윤(윤임) vs 소윤(윤원형)

 

◯사람의 계보

-정몽주(↔정도전) → 길재 → 김숙자 → 김종직(무오사화) → 정여창, 김굉필, 김일손(무오사화) → 이언적, 서경덕, 조광조(기묘사화), 김안국 → 조식, 이황, 이이, 성혼

-동인 : 서경덕, 조식, 이황

-북인 : 서경덕, 조식 계승

-남인 : 이황 계승

-서인 : 이이, 성혼

-노론 : 이이 계승

-소론 : 성혼 계승

 

◯이것만은 꼭!

-사림은 향촌에서 (유향소)를 통해 여론을 형성하였다.

-(서원)은 제사와 교육의 기능을 병행하였다.

-조선의 4대 사화는 (무오)사화, (갑자)사화, (기묘)사화, (을사)사화다.

-연산군은 (무오)사화, (갑자)사화시 왕이었다.

-기묘사화 당시 왕은 (중종)이었다.

-을사사화 당시 왕은 (명종)이었다.

'최태성 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9강_조선의 토지제  (0) 2014.01.30
28강_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  (0) 2014.01.30
26강_조선의 행정 조직  (0) 2014.01.30
25강_조선의 역사 주도 세력과 건국  (0) 2014.01.30
24강_중세의 문화2  (0) 2014.01.3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