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최태성 한국사

26강_조선의 행정 조직

[26강_조선의 행정 조직]

◯오늘의 호기심

-조선왕조실록이 만들어진 배경?

-드라마의 사또 VS 교과서의 수령

-이순신은 문과 출신일까?

 

◯경관직 - 중앙

-의정부 → 6조(이호예병형공)

-의금부(역모)

-승정원(비서)

-3사 : 사간원, 사헌부, 홍문관 → 언론 기능

-한성부(한양), 춘추관(역사), 성균관

-6조 직계제, 의금부, 승정원 : 왕권 강화

-의정부 서사제, 3사 : 왕권 견제

 

◯외관직 - 지방

-관찰사(감영) : 8도(일원화) 파견, 수령 감독

-cf)고려 : 안찰사(상설행정기구X), 5도 양계(이원화)

-수령 : 부(사)/목(사)/군(수)/현(령) → 면(임)/리(정)/통(주)

-향/부곡/소 → 소멸

-관찰사, 수령 : 행정+사법+군사권

-보좌 : 향리(외역전X)

 

◯관리 임용의 원칙

-상피제

-임기제

 

◯관리 선발 방식 - 과거(예부 주관)

-문과(3년마다) : 초시→복시→전시(등급 결정)

-서얼, 재가 여성의 子응시X

-소과(생원/진사시, 초시→복시) → 성균관 → 문과

-cf)고려 : 생원→명경과, 진사→제술과

-무과(고려X) : 초시→복시→전시

-잡과 : 초시→복시, 해당 관청 할당 인원

 

◯관리 선발 방식 - 천거, 문음, 취재

-천거 : 현직 관리 중 추천, 현량과(조광조)

-cf)현량과 : 구술 면접

-문음(=음서) : 2品↑, 고위관직X

-취재 : 하급관리 선발

 

◯군사조직

-군인수급원칙 : 양인개병(의무병), 농병일치

-사(양반) : 관리O/유생→군역X, 관리X→특수군

-농 : 정군, 보인(봉족, 군대X→정군 집안을 도와줌)

-공 : 물품 생산

-상 : 세금 납부

-정규군

-중앙군 : 5위(정군+특수군+갑사(직업군인))

-지방군 : 영진군(진관체제(세조)=지역방어)

-비정규군

-잡색군 : 향리~노비

 

◯이것만은 꼭!

-조선시대 역사편찬 담당부서는 (춘추관)이다.

-조선 (향리)는 외역전이 지급되지 않았다.

-고려는 5도에 (안찰사)를, 조선은 8도에 (관찰사)를 파견하였다.

-수령은 (행정)권, (사법)권, (군사)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.

-조선의 군사 제도는 (양인)개병과 (병농)일치를 기반으로 한다.

-조선 전기의 중앙군은 (5위)였다.

-조선에는 고려와 달리 (무과)가 항시 시행되었다.

'최태성 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8강_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  (0) 2014.01.30
27강_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  (0) 2014.01.30
25강_조선의 역사 주도 세력과 건국  (0) 2014.01.30
24강_중세의 문화2  (0) 2014.01.30
23강_중세의 문화1  (0) 2014.01.3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