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26강_조선의 행정 조직]
◯오늘의 호기심
-조선왕조실록이 만들어진 배경?
-드라마의 사또 VS 교과서의 수령
-이순신은 문과 출신일까?
◯경관직 - 중앙
-의정부 → 6조(이호예병형공)
-의금부(역모)
-승정원(비서)
-3사 : 사간원, 사헌부, 홍문관 → 언론 기능
-한성부(한양), 춘추관(역사), 성균관
-6조 직계제, 의금부, 승정원 : 왕권 강화
-의정부 서사제, 3사 : 왕권 견제
◯외관직 - 지방
-관찰사(감영) : 8도(일원화) 파견, 수령 감독
-cf)고려 : 안찰사(상설행정기구X), 5도 양계(이원화)
-수령 : 부(사)/목(사)/군(수)/현(령) → 면(임)/리(정)/통(주)
-향/부곡/소 → 소멸
-관찰사, 수령 : 행정+사법+군사권
-보좌 : 향리(외역전X)
◯관리 임용의 원칙
-상피제
-임기제
◯관리 선발 방식 - 과거(예부 주관)
-문과(3년마다) : 초시→복시→전시(등급 결정)
-서얼, 재가 여성의 子 → 응시X
-소과(생원/진사시, 초시→복시) → 성균관 → 문과
-cf)고려 : 생원→명경과, 진사→제술과
-무과(고려X) : 초시→복시→전시
-잡과 : 초시→복시, 해당 관청 할당 인원
◯관리 선발 방식 - 천거, 문음, 취재
-천거 : 현직 관리 중 추천, 현량과(조광조)
-cf)현량과 : 구술 면접
-문음(=음서) : 2品↑, 고위관직X
-취재 : 하급관리 선발
◯군사조직
-군인수급원칙 : 양인개병(의무병), 농병일치
-사(양반) : 관리O/유생→군역X, 관리X→특수군
-농 : 정군, 보인(봉족, 군대X→정군 집안을 도와줌)
-공 : 물품 생산
-상 : 세금 납부
-정규군
-중앙군 : 5위(정군+특수군+갑사(직업군인))
-지방군 : 영진군(진관체제(세조)=지역방어)
-비정규군
-잡색군 : 향리~노비
◯이것만은 꼭!
-조선시대 역사편찬 담당부서는 (춘추관)이다.
-조선 (향리)는 외역전이 지급되지 않았다.
-고려는 5도에 (안찰사)를, 조선은 8도에 (관찰사)를 파견하였다.
-수령은 (행정)권, (사법)권, (군사)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.
-조선의 군사 제도는 (양인)개병과 (병농)일치를 기반으로 한다.
-조선 전기의 중앙군은 (5위)였다.
-조선에는 고려와 달리 (무과)가 항시 시행되었다.
'최태성 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8강_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 (0) | 2014.01.30 |
---|---|
27강_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 (0) | 2014.01.30 |
25강_조선의 역사 주도 세력과 건국 (0) | 2014.01.30 |
24강_중세의 문화2 (0) | 2014.01.30 |
23강_중세의 문화1 (0) | 2014.01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