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최태성 한국사

23강_중세의 문화1

[23강_중세의 문화1]

◯오늘의 호기심

-고려의 해동공자는 누구일까?

-교관겸수와 정혜쌍수는 같은 말일까?

-고려에도 도교가 유행했을까?

 

◯유학

-호족 시대(개혁, 자주)

-최승로 : 시무28조(불교 비판)

-성종 : 중앙(국자감), 지방()

-국자감 : 유학부(7品↑), 기술학부(8品↓) → 관학진흥

-문벌귀족 시대(보수, 사대)

-김부식, 최충(해동공자, 문헌공도→9재학당)

-사학 융성↑ : 사학12도 ex)문헌공도

-관학 진흥책 : 양현고(예종), 전문7재

-시문 중시(귀족적 경향)

-무신정권 시대 : 유학 위축

-고려말기(권문세족→신진사대부)

-안향 : 성리학 소개(from 원)

-이제형이색정도전/정봉주

-국자감 → 국학(충렬) → 성균관(충선) → 기술학부X(공양)

 

◯역사서

-호족 시대

-7대실록, 구삼국사 : 현존X

-문벌귀족 시대

-김부식 <삼국사기> : 신라 중심의 역사 서술, 기전체

-기전체 : 왕가+세가(제후)+열전(신하)+지(제도)+표(영토)

-무신정권 시대

-각훈 <해동고승전>

-이규보 <동명왕편> : 고구려

-고려말기(권문세족→신진사대부)

-일연 <삼국유사>, 이승훈 <제왕운기> : 단군, 고조선

 

◯불교

-호족 시대

-선종 유행+균여(화엄종, 교종) 활동

-중앙(태조) : 연등회/팔관회 장려(훈요10조), 국사/왕사 제도, 승록사(승려 행적 기록청)

-지방 : 향도

-문벌귀족 시대

-교종 유행

-의천 : 교/선 통합(물리적(교단) 통합→실패), 교관겸수천태종, <교장> 간행(목판, 불교경전 해석)

-무신정권 시대

-선종 유행

-지눌 : 선/교 통합(화학적(교리) 통합), 정혜쌍수/돈오점수조계종, 수선사(송광사) 결사(↔백련사 결사)

-요세 : 백련사 결사(교종), 참회/염불→극락왕생(민중인기)

-혜심 : 유불일치설, 지눌 제자

-고려말기(권문세족→신진사대부)

-임제종(선종 일파) 유행 : 참선 운동, 화두를 통한 간화선 방법, 스승과 제자 관계 중시, 보우(불교 개혁 운동→실패)

 

◯도교와 풍수지리

-도교 : 호족 시대

-팔관회(불교+도교+토속신앙)

-도관(궁중의 도교 사원) : 초제 주관

-교단 설립X

-풍수지리

-호족 시대 : 서경길지설 → 3경, 북진정책

-문벌귀족 시대 : 남경길지설 → 묘청의 서경천도운동

 

◯이것만은 꼭!

-예종은 관학 진흥책의 일환으로 (양현고)를 설치하였다.

-고려 초기 승려 (균여)는 화엄종을 발전시켰다.

-고려 말기 승려 (보우)는 임제종에 영향을 받아 불교 개혁을 주도하였다.

-고려 후기 승려 (요세)는 참회를 통해 극락왕생에 갈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.

-고려는 (도관)에서 초제를 주관하였다.

'최태성 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5강_조선의 역사 주도 세력과 건국  (0) 2014.01.30
24강_중세의 문화2  (0) 2014.01.30
22강_고려 사회의 모습  (0) 2014.01.30
21강_고려의 경제  (0) 2014.01.30
20강_고려의 토지 제도  (0) 2014.01.3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