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최태성 한국사

20강_고려의 토지 제도

[20강_고려의 토지 제도]

◯오늘의 호기심

-전시과는 왜 자꾸 지급대상이 바뀔까?

-공음전과 구분전의 차이는?

 

◯수조권 기반의 토지

-역분전

-개국공신

-기준 : 농공행상

-전시과 : 전→곡물, 시→땔감 / 광종→경종(전시과)

-직역대가, 세습X, 전국토지

-시정전시과(경종, 976) : 전/현직, 관품+인품

-cf)녹읍(식읍), 관료전, 역분전 ← 인품

-개정전시과(목종, 998) : 전/현직, 관품(18과), 군인전

-경정전시과(문종, 1076) : 현직(토지부족으로 인해)

 

◯전시과의 종류

-일반전시

-양반전시 : 직역대가 → 세습X

-군인전시 : 직업군인(2군 6위) → 세습O

-외역전시 : 향리 → 세습O

-구분전시 : 유가족

-한인전시 : 하급관리자제(직역X)

-공음전시 : 5품↑ 지급, 신분 대가

-공해전시(관청경비), 내장전시(궁궐), 사원전시(절)

 

◯일반전시의 활용

-60세 군인, 아들X → ~70세(군인전), 71세~(구분전)

-60세 군인, 20세 아들 → 아들(군인전)

-60세 군인, 15세 아들 → 아들(한인전)

 

◯전시과의 붕괴(무신정권→전쟁)

-녹과전(원종) : 녹봉X→토지, 경기지역만

-전시과와 과전의 과도기

-과전법(공양왕) : 전/현직, 경기지역만

 

◯소유권 기반의 토지

-(정전(고대)→)민전 : 매매O, 세습O

 

◯이것만은 꼭!

-(경종)은 시정 전시과를 시행하였다.

-목종은 (개정) 전시과를 시행하였다.

-(문종)은 경정 전시과를 시행하였다.

-관청 운영을 위해 지급된 전시과는 (공해전)이다.

-궁궐 운영을 위해 지급된 전시과는 (내장전)이다.

'최태성 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2강_고려 사회의 모습  (0) 2014.01.30
21강_고려의 경제  (0) 2014.01.30
19강_고려 대외 관계  (0) 2014.01.30
18강_문벌 귀족 사회의 동요와 무신정변  (0) 2014.01.30
17강_고려의 행정 조직  (0) 2014.01.3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