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21강_고려의 경제]
◯오늘의 호기심
-고려시대에도 이앙법이 있었을까?
-왜 고려는 화폐를 발행하려 했을까?
-벽란도에서는 어떤 모습이 펼쳐졌을까?
◯수취제(호부, 삼사)
-민정문서(통일신라) → 양안(조세/공납), 호적(역)
-조세 : 1/10
-주/현 → 조창 → 조운로 → 경창(좌창:녹봉/우창:행사비용)
-공납 : 특산물
-중앙 ↔ 주/현 ↔ 속군/속현/향/소/부곡 ↔ 戶(by 향리)
-역 : 요역, 군역 → 16~60세 정남
◯정책 - 농민안정책
-흑창 → 의창(춘대추납, ≒고구려 진대법), 조세감면
◯경제활동 - 농업(후기)
-논농사 : 이앙법(남부 일부지방 도입), 시비법 발달(휴경지 감소), 우경 일반화, 농상집요(by 이암, from 원나라)
-밭농사 : 윤작법(2년 3작) 도입, 목화 도입(by 문익점),
◯경제활동 - 상업↑(전기→후기)
-도시 : 시전(개경), 경시서(상행위 감독), 상평창(물가 조절 기구), 관영상점
-지방 : 비정기적 시장, 행상
-국제무역 : 노걸대(여말선초, 중국어 회화책)
-벽란도 : 아라비아 상인, COREA
-거란/여진 → 고려 : 은
-거란/여진 ← 고려 : 식량
-송 → 고려 : 사치품
-송 ← 고려 : 은
-일본 → 고려 : 수은
-일본 ← 고려 : 식량
◯경제활동 - 상업(국가 재정 확보책)
-소금전매 : 소에서 생산 → 국가(충렬왕)
-화폐발행 : 성공X, 곡물/옷감
-성종 : 건원중보(철전)
-숙종 : 삼한통보, 해동통보, 해동중보(동전), 활구(은전)
-cf)활구1개=베200필
-의천(문벌귀족):OK VS 임춘(무신):NO
◯경제활동 - 수공업
-전기 : 관영수공업(공장안), 소수공업
-후기 : 민영수공업, 사원수공업
◯이것만은 꼭!
-민정문서는 고려에서 (호적)과 (양안)으로 대체되었다.
-고구려의 진대법과 같은 기능을 고려에서는 (의창)이 했다.
-고려 시전을 감독하기 위해 (경시서)가 설치되었다.
-고려 (상평창)은 물가 조절 기관이다.
-성종 시기 철전인 (건원중보)가 발행되었다.
-고려의 최대 무역항은 (벽란도)이다.
'최태성 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3강_중세의 문화1 (0) | 2014.01.30 |
---|---|
22강_고려 사회의 모습 (0) | 2014.01.30 |
20강_고려의 토지 제도 (0) | 2014.01.30 |
19강_고려 대외 관계 (0) | 2014.01.30 |
18강_문벌 귀족 사회의 동요와 무신정변 (0) | 2014.01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