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최태성 한국사

18강_문벌 귀족 사회의 동요와 무신정변

[18강_문벌 귀족 사회의 동요와 무신정변]

◯오늘의 호기심

-‘조선 력사 일천년래 제일대사건’?

-최씨 무신정권의 권력 유지법은?

 

◯고려 호족의 특징과 왕건

-사상 : 선종/풍수지리 → 변화 / 고구려 계승 → 진취

-왕건 : 모효(태조), 시호(신성대왕), 연호(천수), 짐(폐하, 만세), 황색포 사용

 

◯고려 문벌귀족의 특징과 특권

-사상 : 선종→교종 / 풍수지리→유교 / 고구려 계승→신라 계승

-특권

-정치 : 음서

-경제 : 공음전

-사회 : 폐쇄적 통혼권 근친혼

-사상과 특권의 정체 → 모순

 

이자겸의 난(with 척준경)

-이자겸 : 왕의 외할아버지, 자신의 딸을 다시 왕과 혼인

-경원 이씨

 

묘청의 서경천도 운동

-국호(대위), 연호(천개)

-서경파

-인물 : 묘청, 정지상, 윤언이(중립)

-성향 : 진취, 자주

-이념 : 토속신양, 불교, 풍수지리

-계승 : 고구려

-외교 : 금정벌, 칭제건원

-개경파

-인물 : 김부식

-성향 : 보수, 사대(여진(금)의 사대요구)

-이념 : 유교

-계승 : 신라

-외교 : 금사대

-신채호 <조선사 연구초> : ‘조선력사 일천년래 제일대사건’

-개경파 승리 → 보수사대 역사 → 조선 → 일제강점기

-김부식의 아들 김돈중이가 무인 정중부의 수염을 태우다. → 무신정변(1170)

 

◯무신집권기의 정치와 군사

-정치

-중방 : 이의방, 정중부, 경대승, 이의민(천민)

-교정도감 : 최충헌, 최우

-정방(인사권), 서방(문신등용) : 최우

-군사

-도방 : 경대승, 최충헌, 최우

-야별초(→삼별초) : 최우

 

◯무신정권에 대한 저항

-이의방, 정중부

-김보당의 난(개경), 조위총의 난(서경) : 문벌귀족

-망이·망소이 난(공주명학소) → 충순현 승격

-경대승, 이의민

-김사미의 난(운문)

-효심의 난(초전)

-최충헌

-만적의 난(개경) : 신분해방운동 cf)만적→노비

-이비·발좌의 난(경주) : 신라 부흥운동

-최우(몽골의 침입)

-최광수의 난(서경) : 고구려 부흥운동

-이연년의 난(담양) : 백제 부흥운동

 

◯이것만은 꼭!

-문벌귀족은 정치적 특권으로 (음서)제를 활용하였다.

-문벌귀족은 경제적 특권으로 (공음)전을 지급받았다.

-묘청의 (서경)천도운동은 (개경)파와 (서경)파의 대립에서 비롯되었다.

-경대승은 ()방을 설치하였다.

-최충헌은 최고 권력기관으로 (교정)도감을 활용하였다.

-최우의 ()방은 인사권을 장악하였다.

'최태성 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0강_고려의 토지 제도  (0) 2014.01.30
19강_고려 대외 관계  (0) 2014.01.30
17강_고려의 행정 조직  (0) 2014.01.30
16강_고려의 성립 과정  (0) 2014.01.30
15강_고대의 문화3  (0) 2014.01.3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