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15강_고대의 문화3]
◯오늘의 호기심
-서동요의 선화공주가 익산 미륵사를 창건했을까?
-감은사는 누가, 왜 세웠을까?
-삼국과 일본의 문화교류의 종류는?
◯고구려, 백제, 신라, 발해의 건축
-고구려 : 안학궁(평양/장수왕 남진정책)
-백제 : 미륵사(익산/무왕/선화공주vs사택)
-신라 : 황룡사(경주/진흥황) cf)9층 목탑은 선덕여왕
-통일신라 : 불국사(경주/경덕왕), 석굴암, 안압지
-발해 : 상경 용천부 주작대로(당나라 영향)
◯고구려, 백제, 신라, 발해의 불상
-공통 :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
-고구려 :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
-백제 : 서산용현리마애삼존상
-신라 : 배동석조여래삼존입상
-통일신라 : 석굴암 본존불
-발해 : 이불병좌상(고구려 영향)
◯고구려, 백제, 신라, 발해의 탑
-고구려 : 목탑X
-백제 : 미륵사지 석탑, 정림사지 5층 석탑(부여)
-cf)정림사지 5층 석탑 : 당나라가 점령 후 ‘평제탑’ 각인
-신라 : 황룡사 9층 목탑(선덕여왕/호국불교), 분황사탑(모전석탑, 목탑과 석탑의 과도기)
-통일신라
-초기 : 감은사지 3층 석탑
-중기 : 부석사 3층 석탑, 다보탑
-후기 : 진전사지 3층 석탑(탑신에 불상 조각), 승탑 유행
◯고구려, 백제, 신라, 발해의 음악
-고구려 : 왕산악(거문고)
-신라 : 우륵(대가야/가야금), 백결의 방아타령
◯일본과의 교류 - 인물
-고구려 : 담징(종이, 먹, 호류사 금당벽화), 혜자(쇼토쿠 태자의 스승)
-백제 : 아직기(한자), 왕인(논어, 천자문), 노리사치계(불교)
-신라 : 도왜인(연오랑과 세오녀)
-도왜인 : 장수왕 남진정책 → 일본으로 건너간 사람
-통일신라 : 심상(화엄종↑)
◯일본과의 교류 - 유물
-고구려 : 수산리 고분벽화(=다카마스 고분벽화)
-백제 : 호류사 백제관음상, 고류사 미륵보살반가사유상(목조), 백제 가람양식 유행
-신라 : 조선술, 축제술(한인의 연못)
-삼국시대 : 일본의 7C 아스카문화(나라지방)에 영향
-통일신라 : 일본의 하쿠호문화에 영향
◯서역과의 교류
-고구려 : 각저총(서역인見), 서역 아프라시압 궁전벽화(고구려인見)
-신라 : 유리그릇, 금제장식보검
-통일신라 : 울산항, 괘릉의 무인상(서역인)
◯이것만은 꼭!
-백제 멸망의 기록이 쓰여진 탑은 (정림사지 5층) 석탑이다.
-신라 하대에는 (선종)의 영향으로 승탑이 많이 세워졌다.
-일본 다카마쓰 고분 벽화와 유사한 벽화는 고구려 (수산리) 고분 벽화다.
-백제 (왕인)은 일본에 논어와 천자문을 전해 주었다.
'최태성 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7강_고려의 행정 조직 (0) | 2014.01.30 |
---|---|
16강_고려의 성립 과정 (0) | 2014.01.30 |
14강_고대의 문화2 (0) | 2014.01.30 |
13강_고대의 문화1 (0) | 2014.01.30 |
12강_고대 경제와 사회 (0) | 2014.01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