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최태성 한국사

16강_고려의 성립 과정

[16강_고려의 성립 과정]

◯오늘의 호기심

-문벌귀족과 권문세족은 누구?

-태조의 당근과 채찍 정책?

-무서운 정치인, 광종. 그는 누구인가?

 

◯고려의 시대구분

-전기(918~1170) : 초기 / 중기 cf)1170년(무신정변)

-후기(1170~1392) : 몽골→원갑섭기 / 말기

 

◯고려전기의 호족과 6두품부터 고려후기의 신진사대부

-호족/6두품

-중앙 → 문벌귀족 → 무신 → 권문세족

-지방 → 향리 → 서방 → 성리학 → 신진사대부(혁명파→조선건국(1392)/온건파→낙향)

 

◯고려의 건국

-고려 건국(918) : 철원

-송악(개성) 천도(919)

-견훤 금산사(김제) 유폐(935) → 왕건에게 귀순

-신라 경순왕 항복(935) → 사심관 임명

-후백제 멸망(936) → 삼국통일

 

◯고려의 태조 : 호족연합정권(왕권↓)

-민생안정 : 1/10, 흑창(빈민구제)

-호족정책

-당근 : 정략결혼, 사성(왕씨성을 줌), 역분전(역할에 따라 나눠준 토지)

-채찍 : 사심관(연대책임), 기인(인질), 책(정계/계백요서/훈요10조)

-북진정책 : 서경 중시, 청천강~영흥만 영토 확장

 

◯왕규의 난

-혜종 → 정종 : 왕규의 난(왕위쟁탈전)


◯고려의 광종 : 왕권↑

-노비안검법, 과거제(최초), 호족숙청, 공복제정, 칭제건원(연호:광덕, 준풍)

 

◯고려의 경종과 성종

-경종 : 시정전시과(관직에 따라)

-성종 : 2성 6부, 국자감 정비, 지방관 파견(12목→목사), 향리제(호족 포섭)

-최승로 시무 28조(6두품, 유학자) → 연등회↓, 팔관회X(현종O)

-문벌귀족사회 토대 마련

 

◯이것만은 꼭!

-고려의 지배층은 호족-(문벌귀족)-무신-(권문세족) 순이다.

-태조는 연대책임을 지우는 (사심관) 제도를 시행하였다.

-고려는 상수리 제도와 유사한 (기인) 제도를 시행하였다.

-광종은 왕권 강화를 위해 (노비안검)법과 과거제를 시행하였다.

-성종은 지방 12목에 (지방관)을 파견하였다.

'최태성 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8강_문벌 귀족 사회의 동요와 무신정변  (0) 2014.01.30
17강_고려의 행정 조직  (0) 2014.01.30
15강_고대의 문화3  (0) 2014.01.30
14강_고대의 문화2  (0) 2014.01.30
13강_고대의 문화1  (0) 2014.01.3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