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13강_고대의 문화1]
◯오늘의 호기심
-불교에서 교종과 선종의 차이는?
-혜초가 걸어간 거리는?
-삼국시대에도 대학교가 있었을까?
◯신라 상대의 불교
-전래
-전진 → 고구려(소수림왕) → 신라(법흥왕/이차돈)
-동진 → 백제(침류왕) → 일본(노리사치계)
-특징
-왕실불교 : ex)신라(법흥왕~진덕여왕→불교식 이름)
-업설유행 → 귀족불교
-호국불교 : ex)신라(황용사 9층 목탑, 세속오계), 백제(미륵사), 통일신라(문무왕릉, 감은사)
-민간신앙 흡수
◯신라 중대의 불교
-원효 : 정토종(아미타신앙) → 불교의 대중화
-원융회통사상, 일심사상, 십문화쟁론
-의상 : 화엄종↑(일즉다다즉일→왕권강화, 왕즉불)
-관세움사상↑, 부석사
-혜초 : 왕오천축국전(지리지)
-8C 중앙아시아의 생활상 cf)현재 파리에 있음
◯신라 하대의 불교
-선종(참선) 유행
-도입 : 신라 통일 전후(중대 초기)
-참선 : 승탑 유행, 9산 선문
◯풍수지리
-도입 : 신라 하대(by 도성)
-선종, 풍수지리 : 지방호족 인기(→고려 건국)
◯도교
-신선사상, 무위자연
-도입 : 신라 상대
-고구려 : 연개소문, 사신도
-백제 : 산수문전
-신라 : 화랑도
◯신라 상대의 유교 - 교육기관
-고구려
-중앙 : 태학(소수림)
-지방 : 경당(장수왕/평양) → 유학+무술
-cf)개항기의 원산학사 → 근대학문+무술
-백제 : 오경/역/의박사
-신라 : 임신서기석
◯신라 중대의 유교 - 교육기관
-발해 : 주자감
-신라 : 국학(신문왕/왕권↑)
◯신라 하대의 유교 - 교육기관
-독서삼품과(원성왕) → 실패
◯신라 중대의 유교 - 유학자
-설총(이두정리/화왕계), 강수(외교문서) → 6두품
-김대문(화랑세기/고승전/한산기) → 자주/주체적
◯신라 하대의 유교 - 유학자
-최치원(계원필경/토황소격문/시무책) → 6두품, 빈공과
◯신라 상대의 역사 - 역사서
-고구려 : 유기 → 신집(영양왕/이문진)
-백제 : 서기(근초고왕/고흥)
-신라 : 국사(진흥왕/거칠부)
◯이것만은 꼭!
-고구려는 (전진)에서, 백제는 (동진)에서 불교를 수입하였다.
-불교 대중화의 길을 연 승려는 (원효)다.
-혜초는 지리지 역할을 하는 (왕오천축국전)을 저술하였다.
-고구려의 (태학)은 현재의 대학 기능을 하였다.
-고승전, 화랑세기, 한산기의 저자는 (김대문)이다.
'최태성 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5강_고대의 문화3 (0) | 2014.01.30 |
---|---|
14강_고대의 문화2 (0) | 2014.01.30 |
12강_고대 경제와 사회 (0) | 2014.01.30 |
11강_토지제의 이해 (0) | 2014.01.30 |
10강_발해 (0) | 2014.01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