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12강_고대 경제와 사회]
◯오늘의 호기심
-고대에도 사회복지제도가 있었을까?
-골품제를 반대한 계층은?
-통일신라의 민족융합정책은?
◯삼국시대와 남북국시대의 수취제도
-삼국시대
-조세 : 戶(재산정도) → 곡물(조)+포(인두세)
-공물 : 특산물
-역 : 노동력(요역, 군역) → 15세 이상 남자
-남북국시대(통일신라)
-조세 : 1/10 곡물
-공물 : 특산물
-역 : 노동력(요역, 군역) → 16세~60세
-민정문서
-서원경(청주)에서 작성 → 도다이사(日)에서 발견
-촌주들이 매3년마다 작성
-촌락단위로 세금 부과
-중앙 통제력↑
◯삼국시대와 남북국시대의 정책
-삼국시대 : 진대법(고국천왕) → 춘대추납
-남북국시대(통일신라) : 정전 지급(성덕왕) → 국가의 토지 지배력↑
◯삼국시대와 남북국시대의 경제 활동
-삼국시대/남북국시대(통일신라)의 농업
-철제 농기구 보급
-우경 장려(지증왕)
-시비법X → 휴경농법
-삼국시대의 상업
-동시(소지마립간) : 시장
-동시전(지증왕) : 동시를 관리
-당항성 : 중국 직교역(진흥왕)
-공무역 : 국가간 무역
-남북국(통일신라)의 상업
-동시+서시/남시
-시전 : 관리
-공무역+사무역
-삼국시대의 수공업 : 노비수공업 → 관성수공업
-남북국(통일신라)의 수공업 : 관영
◯남북국시대의 무역
-발해 : 말 수출 → 말갈/당(발해관)/일본도/신라도
-신라
-울산항 : 이슬람(유리그릇, 보검)
-일본에 신라역어소(통역) : 8C 일본 무역↑
-법화원(산둥반도), 청해진(완도) : 장보고
-신라방(산둥반도 아래)
◯삼국시대의 사회
-고구려
-왕족 : 고씨
-상무적 기품 → 엄격한 형법
-1책 12법 : 12배 보상
-백제
-왕족 : 부여씨
-상무적 기품 → 엄격한 형법
-도둑질 → 2배 보상
-신라
-왕족 : 박/석/김 → 김(내물마립간/성골)
-씨족사회 전통 : 화백회의, 화랑도
-화백회의 : 만장일치 / 장→상대등
-화랑도(진흥왕) : 화랑(귀족)+낭도(귀족+평민) → 계급갈등 완화
-골품제 사회 : 폐쇄적 신분제, 6두품(오직 아찬까지→장관X/지방관X)
-신분제 : 연맹 → 고대-부족장 → 귀족
-호민(고구려) → 귀족
-하호(고구려) → 평민
-천민 → 천민(노비多)
◯통일신라시대의 사회
-왕족 : 무열왕(진골)계 김씨 → 내물왕 방계
-민족 융합책 : 삼한일통
-9주 : 고구려, 백제, 신라 각 3개씩
-9서당(중앙군) : 백제(문무왕)+고구려(신문왕)+말갈+신라
-신라하대
-원종/애노의 난
-골품제 모순↑ : 4두품→평민화, 3~1두품→소멸
◯발해의 사회
-왕족 : 대씨
-이원적 민족구조 : 지도층(소수/고구려인)+피지도층(다수/말갈인)
-지방촌락 : 말갈인 수령들이 운영
◯이것만은 꼭!
-고구려의 (진대법)은 춘대추납 제도이다.
-신라 성덕왕은 백성에게 (정전)을 지급하였다.
-신라의 (화랑도)와 (화백회의)는 씨족 사회의 전통이 반영되었다.
-신라의 (골품제)는 폐쇄적 신분제도이다.
-발해의 피지배층은 (말갈족)이 다수였다.
'최태성 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4강_고대의 문화2 (0) | 2014.01.30 |
---|---|
13강_고대의 문화1 (0) | 2014.01.30 |
11강_토지제의 이해 (0) | 2014.01.30 |
10강_발해 (0) | 2014.01.30 |
9강_통일 신라 (0) | 2014.01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