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19강_고려 대외 관계]
◯오늘의 호기심
-고려는 왜 천리장성을 축조했을까?
-공민왕은 왜 忠자가 안들어갈까?
-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의 명분은?
◯거란(요)의 침입(10~11C) → 호족
-1차 : 서희, 강동6주
-2차 : 양규, 강조의 변
-3차 : 강감찬, 귀주대첩
-초조대장경 간행, 나성(개경) 축조, 천리장성(↔거란여진)
◯여진(금)의 침입(12C) → 문벌귀족
-고구려 말갈 → 여진
-여진↑ : 윤관 → 별무반 → 동북9성(다시 돌려줌)
-별무반 : 신기군(기병)+신보군(보병)+항마군(승려, 호국)
-금사대 : 이자겸, 김부식 OK ↔ 묘청의 서경천도운동
◯몽골의 침입(13C) → 무신정권
-초조대장경 불탐, 황룡사 9층목탑 불탐
-최우 : 강화도 천도 → 개경 환도
-김윤휴+부곡민 : 처인성 전투 → 살리타 사살
-노비 : 충주성 전투
-배중손 : 삼별초 항쟁
-삼별초 : 야별초(좌별초/우별초)+신의군(몽골 포로)
-강화도 → 진도(용장성) → 제주도(항파두리성)
◯원 간섭기 → 권문세족
-영토축소 : 화주(쌍성총관부), 서경(동녕부), 제주도(탐라총관부)
-cf)쌍성총관부 : 대몽항쟁기에 이미 설치됨(1258)
-관제개편 : 2성→첨의부, 6부→4사, 중추원→밀직사
-부마국(忠)
-내정간섭 : 다루가치 파견, 응방, 정동행성 이문소
-응방 : 매 관리 / 정동행성 이문소 : 일본정벌 위해 설치
-권문세족↑(친원파)
-정치 : 도평의사사, 음서, 정방
-경제 : 대농장
-사회변화 : 몽골풍 유행(↔고려양), 공녀(조혼↑)
◯공민왕의 개혁
-쌍성총관부 → 무력수복
-동녕부, 탐라총관부 → 충렬왕 때 회복
-정동행성 이문소 폐지
-기철 숙청
-정방 폐지
-대농장 → 전민변정도감(by 신돈)
-광종 노비안검법과 비교 : 공통점(왕권↑, 재정확보), 차이점(대상이 호족/권문세족)
-몽골풍 금지(변발 금지)
◯홍건적과 왜구의 침입(14C) - 고려의 멸망
-신흥무인세력의 성장 : 최영, 이성계
-명의 철령위 설치
-우왕, 최영의 요동 정벌 시행(이성계)
-이성계의 위화도 회군 : 4불가론(소국, 여름, 왜구, 장마)
-우왕 폐위, 창왕 폐위, 공양왕O
-과전법 시행(혁명파 사대부)
-조선 건국
◯이것만은 꼭!
-강동6주 획득에 앞장선 인물은 (서희)다.
-윤관은 여진족을 몰아내고 (동북9성)을 확보하였다.
-원 간섭기에 2성은 (첨의부)로 격하되었다.
-원 간섭기에 6부는 (4사), 중추원은 (밀직사)로 격하되었다.
-원 간섭기에 (평양)에 동녕부가 설치되었다.
-공민왕은 정동행성 (이문소)를 폐지하였다.
'최태성 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1강_고려의 경제 (0) | 2014.01.30 |
---|---|
20강_고려의 토지 제도 (0) | 2014.01.30 |
18강_문벌 귀족 사회의 동요와 무신정변 (0) | 2014.01.30 |
17강_고려의 행정 조직 (0) | 2014.01.30 |
16강_고려의 성립 과정 (0) | 2014.01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