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79강_대한민국 정부수립과 6.25전쟁2]
◯오늘의 호기심
-왜 우리는 친일파를 처단하지 못했을까?
-북한은 왜 동족상잔의 비극 6.25를 일으켰을까?
◯광복 이후의 상황
-국외 : 카이로회담, 얄타회담, 포츠담회의 → 38선
-국내 : 조선건국동맹, 조선독립동맹, 대한민국임시정부
-조선건국동맹 → 건준위 → 조선인민공화국
-미국(미군정) : 조선인민공화국과 임시정부 부정, 친일파生
-모스크바 3상회의
-1946 : 1차 미소공위 → 이승만 정읍발언 → 좌우합작X
-1947 : 2차 미소공위 → UN
-1948 : UN소총회 → 5.10총선 → 제헌헌법
-제헌헌법 : 대통령제, 친일파 처단, 농지분배
-대한민국 수립,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
◯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(=반민특위, 1949)
-경찰 습격 → 국회 프락치 사건 → 공소시효 축소 → 실패
◯농지개혁(1950)
-유상매입(3정보 이상), 유상분배(생산량 150%→5년분할상환)
-식민지 지주제 철폐
-급속한 공산화 저지
◯애치슨라인(1950)
-1948~50 : 주한미군 철수
-1949 :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→ 소련/북한 원조
-애치슨라인(1950) : 극동방위선(한국~일본)
◯6.25전쟁의 과정
-1950
-북한군이 낙동강 방어선까지 밀고 내려옴
-UN군 맥아더 장군의 인천상육작전 → 압록강까지
-1951
-중국군 공격 → 1.4후퇴
-소련의 휴전제안 → 포로문제(미:자유송환↔소:자동송환)
-1953
-이승만 정부 : 휴전반대 → 반공포로 석방 → 휴전협정 → 한미상호방위조약
◯이것만은 꼭!
-이승만 정부는 (공소시효) 축소를 통해 친일파 처단에 실패하였다.
-이승만 정부는 전쟁 직전에 (농지개혁)을 통해 토지분배를 시작하였다.
-이승만 정부는 휴전 회담을 막기 위해 (반공)포로를 석방하였다.
-이승만 정부는 휴전의 대가로 미국으로부터 (주한미군) 주둔과 경제(원조) 약속을 받아냈다.
'최태성 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81강_장면 정부 (0) | 2014.01.30 |
---|---|
80강_이승만 정부 (0) | 2014.01.30 |
78강_대한민국 정부수립과 6.25전쟁1 (0) | 2014.01.30 |
77강_8.15광복과 국내의 정세2 (0) | 2014.01.30 |
76강_8.15광복과 국내의 정세1 (0) | 2014.01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