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최태성 한국사

76강_8.15광복과 국내의 정세1

[76강_8.15광복과 국내의 정세1]

◯오늘의 호기심

-왜 김구는 임시정부 주석 자격으로 고국에 들어오지 못할까?

-왜 미국과 소련의 포고문은 온도차가 나는 걸까?

 

◯현대사 냉전 흐름

-1947 : 트루먼 독트린 → 냉전시작

-6.25전쟁반공

-1969 : 닉슨 독트린 → 냉전완화 “데탕트”

-7.4남북공동선언통일

-1989 : 몰타선언 → 냉전종결

 

◯광복 전후의 주요 인물

-좌 : 김일성, 박헌영(조선공산당)

-중좌 : 여운형

-여운형, 안재홍 : 조선건국준비위원회

-여운형, 김규식 : 좌우합작운동

-중우 : 안재홍, 김규식

-김규식, 김구 : 남북협상(with 김일성)

-우 : 이승만, 김구

 

◯광복의 과정 - 외부적 요인

-카이로회담(1943) : 한국독립 최초 언급(“적당한 시기”)

-얄타회담(1945) : 소련 참전 약속38선 계기

-포츠담회의 : 카이로약속 재확인

 

◯광복의 과정 - 내부적 요인 → 공화정 지향

-서울 : 조선건국동맹

-옌안 : 조선독립동맹(조선의용군)

-충칭 : 대한민국임시정부(한국광복군)국내진공작전

 

◯광복(1945.8.15) 이후의 상황

-38선↑ : 소련 / 38선↓ : 미국

-조선건국동맹 → 조선건국준비위원회(건준위)

-좌우합작 : 좌(여운형)+우(안재홍)

-행정+치안

-인민위원회(건준위 전국지부가 조공 이후 개편됨)

-조선인민공화국

-미국(미군정) : 조선인민공화국 부정(행정정부조직X, 정당행위O), 임시정부 부정, 친일세력生

 

◯이것만은 꼭!

-한국의 독립을 최초로 약속한 국제회담은 (카이로)회담이다.

-조선건국동맹은 광복 직후 (조선건국준비위원회)로 계승되었다.

-건준위는 미군정과의 협상을 위해 (조선인민공화국)을 선포하였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