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74강_민족문화 수호운동1]
◯오늘의 호기심
-국민학교는 어떤 의미로 지어진 것일까?
-한글날은 언제 처음 제정되었을까?
◯개항기~1940년대 교육
-개항기
-사립 : 원산학사, 배제학당, 이화학당
-국립 : 동문학, 육영공원
-교육입국조서 → 근대적 학제
-사립 : 국내(대성학교, 오산학교) / 국외(서전서숙, 명동학교)
-국립 : 한성소/사범/외국어학교, 한성중학교
-1차 조선교육령(1911)
-보통학교 수업연한(6년vs4년) → 차별
-조선어 교육 축소
-2차 조선교육령(1922)
-일본학제=조선학제 : 보통학교 수업연한(6년), 고등교육→민립대 설립운동(실패), 경성제국대학
-조선어 과목 필수
-3차 조선교육령(1938)-보통학교 → 심상소학교-조선어 수의(선택)과목 → 실질적 금지
-국민학교령(1941) : 황국신민
-4차 조선교육령(1943)
-전시동원체제 교육
-조선어 교육 금지
◯국어연구의 흐름
-개화기
-국문연구소 : 국어문법, 음운
-조선광문회 : 박은식, 최남선 → 고전 정리, 간행
-조선어연구회(1921) : 가갸날 제정, <한글>잡지
-조선어학회(1931) : 맞춤법 통일안, 표준어 제정, 우리말큰사전 편찬 시도→실패(조선어학회 사건)
-조선어학회 사건(1942) ← 치안유지법 적용
◯개항기~1940년대 문학
-개항기
-신체시 : 최남선 <해에게서 소년에게>
-신소설 : 혈의누, 은세계, 금수회의록
-1910년대 : 근대소설 이광수 <무정>
-1920년대 초
-동인문학 : <창조>, <폐허>, <백조>
-이상화 <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>
-1920년대 중반 : KAPF 문학(리얼리즘)
-1940년대 : 저항문학(이육사,윤동주), 친일문학(서정주,노천명)
◯개항기~1940년대 잡지
-개항기 : 소년
-1920년대 : 어린이/개벽(→천도교), 한글
-1930년대 : 진단학보
◯이것만은 꼭!
-2차 조선교육령에서 보통학교의 수업연한이 (4)년에서 (6)년으로 늘어났다.
-조선어연구회는 (가갸)날을 제정하고. 잡지 (한글)을 발행하였다.
-조선어학회의 (우리말큰사전) 편찬사업은 중단되었으며, 광복 이후 사업이 재개되었다.
-최초의 근대 소설이라 불리는 이광수의 (무정)은 (1910년)대 발간되었다.
'최태성 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76강_8.15광복과 국내의 정세1 (0) | 2014.01.30 |
---|---|
75강_민족문화 수호운동2 (0) | 2014.01.30 |
73강_무장 독립 전쟁의 전개2 (0) | 2014.01.30 |
72강_무장 독립 전쟁의 전개1 (0) | 2014.01.30 |
71강_사회, 경제적 민족운동 (0) | 2014.01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