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최태성 한국사

9강_통일 신라

[9강_통일 신라]

◯오늘의 호기심

-신문왕의 왕권강화 방법은?

-신라 하대 호족은 왜 성장했을까?

-5소경 제도는 왜 존재했을까?

 

◯통일신라 이전의 흐름정리 - 삼국시대

-내물마립간(4C) : 토대 마련

-소지왕(5C), 지증왕/법흥왕(6C) : 개혁 군주

-진흥왕 : 전성기

 

◯삼국사기 분류법 - 신라 상대, 중대, 하대

-상대(박혁거세~진덕여왕) : 성골→왕

-중대(무열왕~혜공왕) : 진골→왕

-하대(선덕왕~경순왕) : 내물방계진골→왕

 

◯신라 중대의 특징 - 전제왕권강화

-무열왕 : 최초 진골 출신 왕, 백제 멸망

-문무왕 : 수중릉, 삼국통일

-신문왕 : 김흠돌(장인)의 난 → 귀족(진골) 숙청

-정치 : 상대등↓, 집사부 시중↑, 9주 5소경

-경제 : 관료전(조세/공납) 지급, 녹읍(조세/공납/역(→군사력)) 폐지(경덕왕 때 다시 부활), 정전 지급(농민들에게 직접 토지 지급/성덕왕 때)

-사회 : 6두품(설총), 외사정(지방관 사찰/문무왕부터), 상수리(인질/문무왕부터), 국학(9년)

 

◯신라 하대의 특징 - 귀족간의 왕위 다툼(왕권↓)

-정치 : 김헌창의 난(진골귀족간 왕위다툼), 상대등, 시중

-경제 : 녹읍 부활

-사회 : 6두품↓, 성주/장군→호족

-문화 : 풍수지리, 선종 → 호족들에게 인기

 

◯후삼국시대

-송악(궁예/후고구려) → 철원(국호:마진→태봉) → 왕건(고려)

-완산주(견훤/후백제) → 왕건(고려)

-신라 경순왕/호족들 → 왕건(고려)

 

◯통일 신라의 행정 조직 - 중앙

-귀족회의 : 화백회의(상대등)

-수상 : 시중

-조직 : 왕 아래

-집사부 外 13부 : 사정부(외사정), 병부(법흥왕 때) 등

-국학

 

◯통일 신라의 행정 조직 - 지방

-수도 : 6부

-군사 : 9서당(민족융합←백+고+말+신)

-지방 : 9주

-지방관 : 도독(행정↑)

-군사 : 10정(한산주는 넓어서 2정)

-하부단위 : 군/현 → 촌

-군/현에도 지방관 파견, but 촌은 지방관X→촌주(자치)

-견제 : 외사정(군/현), 상수리(촌)

-특수구역 : 5소경, 향/부곡(차별 지역)

-지방관 : 사신

-5소경 : 중원경(충주), 서원경(청주), 남원경(남원), 북원경(원주), 금관경(김해) → 수도 편재성 보완, 지방 문화↑

 

◯이것만은 꼭!

-진골 최초의 왕은 (무열왕)이다.

-신문왕은 (관료전)을 지급하고 (녹읍)을 폐지하였다.

-(김흠돌)의 난은 신라 중대에 일어났다.

-(김헌창)의 난은 신라 하대에 일어났다.

-호족은 (풍수지리)와 (선종)을 선호하였다.

-5소경에서 서원경은 지금의 (청주)다.

'최태성 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1강_토지제의 이해  (0) 2014.01.30
10강_발해  (0) 2014.01.30
8강_삼국의 대외 항쟁  (0) 2014.01.30
7강_삼국의 통치 체제  (0) 2014.01.30
6강_백제와 신라의 발전  (0) 2014.01.3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