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최태성 한국사

65강_국권의 피탈과 일제의 식민통치 정책1

[65강_국권의 피탈과 일제의 식민통치 정책1]

◯오늘의 호기심

-을사오적 5명의 이름을 우리는 알고 있을까?

-왜 3.1운동은 1910년이 아닌 1919년에 일어났을까?

 

◯국외중립선언

-영국의 거문도 불법점령(1885) → 유길준, 부들러(독)중립화 정책

-러일전쟁(1904) → 국외중립선언

 

◯한일의정서, 대한시설강령, 1차 한일협약 : 1904

-한일의정서 : 군사용지 free, 조약→상호승인,

-대한시설강령 : 일본인 이주多, 재정/외교 장악

-1차 한일협약 : 고문정치, 조약→협의

-고문정치 : 외교(스티븐스), 재정(메가타)

 

◯가쓰라-태프트, 2차 영일동맹, 포츠머스 강화조약 : 1905

-가쓰라-태프트 밀약(7月) : 조선(일본)↔필리핀(미국)

-제2차 영일동맹(8月) : 조선(일본)↔인도(영국)

-포츠머스 강화조약(9月) : 러시아 철수

 

2차 한일협약(을사늑약, 1905)

-통감정치(1905) : 통감부 설치(1906)

-외교권 박탈 : 조약→일본의 중개

 

헤이그 특사(1907)

-이준, 이위종, 이상설

-고종(연호:광무) 강제 퇴위 → 순종(연호:융희) 즉위

 

한일신협약(정미7조약, 1907)

-통감 권한↑ : 차관 임명

-군대 해산 : 시위대, 진위대

 

기유각서(1909)

-사법권 박탈경찰권 박탈(1910)

 

경술국치(1910) → 식민지

-주권 박탈

 

◯이것만은 꼭!

-(한일의정서)는 러일전쟁시 일제가 군사 목적의 토지를 사용토록 규정하였다.

-1차 한일협약으로 (고문)정치가 시작되었다.

-2차 한일협약으로 (통감부)가 설치되었다.

-(헤이그) 특사 파견을 빌미로 고종은 퇴위되고 (순종)이 뒤를 이었다.

-(기유)각서를 통해 대한제국의 사법권이 박탈되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