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최태성 한국사

59강_의열·의병 투쟁

[59강_의열·의병 투쟁]

◯오늘의 호기심

-의병 항쟁시 신분차별이 있었다는데 사실일까?

-전명운과 장인환은 서로 모르는 사이인데 어떻게 스티븐슨을 동시에 저격했을까?


◯애국계몽운동의 흐름

-북학파 → 개화파 → 갑오개혁 → 갑오/을미개혁 → 독립협회 → 애국계몽운동 → 실력양성운동

-애국계몽운동 : 보안회→헌정연구회→대한자강회→신민회

 

◯의열투쟁의 흐름 : 개별

-2차 한일협약(=을사협약, 1905)

-민영환 자결

-장지연의 ‘시일야방성대곡’(황성신문)

-오적암살단(나철, 오기호)

-한일신협약(=정미7조약, 1907)

-박승환 자결

-전명운/장인환 : 스티븐스 사살(1908)

-스티븐슨 : 1차 한일협약 → 외교고문

-이재명 : 이완용 피습(1909)

-안중근 : 이토히로부미 사살(1909, 하얼빈역)

-의열단한인애국단

 

◯의병투쟁의 흐름 : 집단

-대원군 ↔ 통상수교 거부(1860~) : 이항로(척화주전론)

-강화도 조약 ↔ 개항 반대(1870~) : 최익현(왜양일체론)

-개화파 ↔ 개화 반대(1880~) : 이만손(영남만인소)

-의병항쟁(1890~)

 

을미의병

-배경 : 을미사변, 단발령

-인물 : 유인석(제천), 이소응(춘천)

-특징 : 양반/유생 중심, 고종의 해산 권고

 

을사의병

-배경 : 을사늑약

-인물 : 최익현, 민종식

-특징 : 평민의병장 활약(신돌석)

 

정미의병

-배경 : 군대 해산 → 의병 합류

-특징 : 의병전쟁, 국제법상 교전단체 허용 주장-의병전쟁 : 서울진공작전(이인영, 허위)

 

호남의병

-소위 ‘남한대토벌작전’

-호남의병 → 만주 연해주 이동 → 항일 무장 투쟁

 

활빈당

-동학농민운동/을미의병 잔여세력 → 활빈당 → 을사의병

-반외세, 반봉건

 

◯이것만은 꼭!

-을미의병은 (고종)의 해산 권고를 수용하였다.

-을사의병장 (최익현)은 쓰시마 섬에 끌려가 그곳에서 순국하였다.

-국제법상 교전단체 허용을 주장한 의병은 (정미)의병이다.

-(장지연)은 (황성)신문에 시일야방성대곡을 실었다.

-나철, 오기호는 (오적)암살단을 조직하였다.

'최태성 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61강_경제적 구국 운동  (0) 2014.01.30
60강_열강의 경제 침탈  (0) 2014.01.30
58강_애국 계몽 운동  (0) 2014.01.30
57강_독립협회  (0) 2014.01.30
56강_대한제국  (0) 2014.01.30